기타 개발 실력보다 중요한 8가지 ‘실무형 개발 습관’ 🚀
페이지 정보
본문
👨💻 실무 개발자라면 가져야 할 습관 8가지
-
작은 단위로 커밋하기
→ "하나의 커밋 = 하나의 기능/수정" 원칙. 롤백하거나 히스토리 확인할 때 압도적 차이. -
PR(풀리퀘스트) 설명은 코드보다 친절하게
→ 코드 리뷰는 결국 "소통" 과정. "왜 바꿨는지" 설명이 더 중요함. -
에러 로그는 바로 슬랙/카톡으로 알림
→ 서버에서만 로그 남기면 늦음. 알림 봇 연결로 초반 대응 가능. -
API 응답 시간 로깅 습관
→ 평균 200ms → 갑자기 1s 넘어가면 병목 즉시 캐치 가능.
→ 운영 후 발견하는 것보다 사전 모니터링이 훨씬 싸다. -
README는 미래의 동료(혹은 자신)에게 편지 쓰듯 작성
→ "이 프로젝트를 오늘 처음 접한 사람"이 이해할 수 있어야 진짜 문서. -
데이터베이스 쿼리, 주기적 리팩토링
→ 서비스가 커지면 가장 먼저 문제 생기는 게 DB.
→ 인덱스 점검, 캐싱 전략은 미리미리 체크. -
일일 회고: 오늘 배운 것 1줄 기록
→ Jira, Notion, 메모장 어디든 상관 없음.
→ 6개월 쌓이면 내 경력 기술서 소재가 됨. -
코드보다 테스트 먼저 생각하기
→ TDD가 아니더라도, 최소한 "어떻게 테스트할까?"를 떠올리면서 짜야 유지보수 가능.
한줄 요약
개발자는 코드를 짜는 직업이 아니라, 문제를 해결하는 직업이다. 습관이 결국 차이를 만든다.
해시태그
#개발팁 #실무개발 #개발습관 #코드관리 #협업팁
메타 설명
개발자라면 코드보다 습관이 더 중요합니다. 유지보수, 협업, 생산성에서 빛을 발하는 개발 습관 8가지를 정리했습니다.
핵심 키워드
개발팁, 개발습관, 코드품질, 협업개발, 프로그래머
- 이전글“버그를 줄이고 속도를 높이는 실전 개발팁 7가지” 🛠️ 25.08.22
- 다음글실무 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숨은 개발 생산성 팁 7가지 💻 25.08.22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